|
|
|
![]()
10 %
|
|
|
|
|||||||||
|
|
|||||||||
|
시대와 인물 … 6 역지사지┃라이벌 & 서포터┃인물 스케치┃ 용어 해설┃교과 연계표 ┃가로 세로 낱말 퍼즐 |
글 작가 / 스윗스팟 |
기획 의도 / 본받고 배우자, Power People! 어린 시절, 닮고 싶은 롤 모델(Role Model)이 있다는 것은 중요하다. 우연히 읽은 책 한 권이 그 사람의 인생을 결정 지을 수 있는 것처럼. 유년기에는 주위의 인물들, 특히 부모의 역할이 강조된다. 유년기는 부모에 대한 동경과 더불어 행동 모방이 이루어지는 시기이므로 부모는 언어와 행동을 통해 올바른 품성을 보여야 한다. 이후 성장기에는 자신의 꿈과 이상에 따라 롤 모델을 선택하고 관심을 기울이게 되는데, 이때 다양한 분야의 롤 모델을 접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역사를 돌아보면 자신의 분야에서 세상을 변화시킨 위대한 인물들을 만나게 된다. 세상은 이들을 파워 피플(Power People)이라 부른다. 세상을 바꾸고 우리 삶에 영향을 끼친 인물이란 뜻이다. 《Why? People》시리즈는 역사와 현재 속에 살아 숨쉬며, 수많은 사람의 롤 모델이 된 국내외 파워 피플의 일대기를 깊고 폭넓게 소개하여 그들이 앞서 경험한 좌절과 극복, 실패와 성공에 얽힌 삶의 의지와 지혜를 배우게된다. 편집자리뷰 / 눈에 보이지 않는 나노 세계를 제시한 나노 기술의 선구자! 리처드 파인만은 1918년, 뉴욕 시 퀸즈의 파라커웨이에서 태어났다. 유대 인이었던 아버지는 리처드가 어렸을 때부터 많은 질문을 통해 생각하는 힘을 기를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식의 교육을 통해 아들을 가르쳤다. 리처드는 어린 시절 라디오를 수리하거나 금고와 자물쇠를 여는 일이 취미였으며 드러머, 화가로서의 재능뿐만 아니라 유머와 재치도 뛰어났다. 그는 매사추세츠 공과 대학과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제2차 세계대전 중에는 원자 폭탄 개발 계획인 맨해튼 프로젝트에 참여하기도 했다. 1945년 코넬 대학교, 1950년 캘리포니아 공과 대학 교수로 재직하며 학생들을 가르쳤다.그는 코넬 대학교 시절부터 양자 전기 역학을 연구했는데, 이 분야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방법을 고안해 내고, 빛과 전자의 상호 작용을 도식화하는 ‘파인만 다이어그램’을 창안하는 등 물리학의 성장에 기여했다. 이로 인해 1964년에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상을, 1965년에는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1988년 암으로 투병하던 중 6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0세기 중 거시적 세계를 다루는 물리학이 아인슈타인으로 대표된다면 미시적 세계를 다루는 물리학은 리처드 파인만으로 대표된다. 파인만은 아인슈타인과 더불어 20세기 최고의 물리학자로 인정받고 있으며 형식과 권위를 거부하고 창조적이고 주체적인 사고를 유지했던 과학자이다. |
|